《한글 맞춤법》제51 항에서는 '-이'와 '-히'로 끝나는 부사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부사의 끝 음절이 분명히 '이'로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유성 자음(유음, 비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ㅎ'이 약화되어 현실적으로는 [이]와 [히]의 발음을 구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이/고히, 헛되이/헛되히, 일일이/일일히'를 발음을 기준으로 구분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와 '-히'의 구별에 대한 다음과 같은 형태적인 기준을 참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이'로 적어야 하는 경우


 '하다'가 붙는 어근의 끝소리가 'ㅅ'인 경우


가붓이, 기웃이, 깨끗이, 나긋나긋이, 나붓이, 남짓이, 느긋 이, 둥긋이, 따뜻이, 뜨뜻이, 반듯이, 버젓이, 번듯이, 빠듯이, 산뜻이, 의젓이, 지긋이 등


 '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


가까이, 가벼이, 고이, 괴로이, 기꺼이, 날카로이, 너그러이, 대수로이, 번거로이, 부드러이, 새로이, 쉬이, 외로이, 즐거이 등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 어간 뒤


같이, 굳이, 길이, 깊이, 높이, 많이, 실없이, 적이, 헛되이 등


 첩어 또는 준첩어인 명사 뒤


간간이, 겹겹이, 골골샅샅이, 곳곳이, 길길이, 나날이, 다달이, 땀땀이, 몫몫이, 번번이, 샅샅이, 알알이, 앞앞이, 일일이, 줄 줄이, 집집이, 짬짬이, 철철이, 틈틈이 등


 부사 뒤


곰곰이, 더욱이, 생긋이, 오뚝이, 일찍이, 히죽이 등


 '하다'가 붙는 어근의 끝소리가 'ㄱ'인 경우


깊숙이, 고즈넉이, 끔찍이, 가뜩이, 길쭉이, 멀찍이, 느직이, 두둑이......


(2) ‘히’로 적는 것

① ‘-하다’가 붙는 어근 뒤(단, ‘ᄉ’ 받침 제외.)

극히 급히 딱히 속히 족히 엄격히 정확히 간편히 고요히 공평히 과감히 급급히 꼼꼼히 나른히 능히 답답히

예시된 단어 중, ‘도저히, 무단히, 열심히’ 등은, ‘-하다’가 결합한 형태가 널리 사용되지는 않지만, ‘도저(到底)하다, 무단(無斷)하다, 열심(熱心)하다’ 등이 사전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②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가 줄어진 형태

  • (익숙히→)익히
  • (특별히→)특히

  • 어원적으로는 ‘-하다’가 붙지 않는 어근에 부사화 접미사가 결합한 형태로 분석되더라도, 그 어근 형태소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지 않은 단어의 경우는 익어진 발음 형태대로 ‘히’로 적는다.

  • 작히(어찌 조그만큼만, 오죽이나)


  • 그러나 이러한 기준도 일차적인 기준일 뿐, 이러한 기준이 모든 경우에 반드시 적용된다고 단정할 수가 없습니다. 제51항이 속해 있는 '제6장 그 밖의 것'의 규정들은 맞춤법의 체계와 관련된 사항이 아니라, 개별 형태나 특수한 발음과 그에 따른 표기상의 통일 등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규칙성을 적용하기보다는 일일이 살펴보아야 하는 사항들이라는 점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우리말 바로쓰기>

    (http://poucet.tistory.com/117)

    '연구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요  (0) 2012.06.06

    식당에 가는 길이오. 식당이요? 저기가 식당이에요. 저기가 식당이오? 네, 식당예요. 안녕히 가십시오.

    '연구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히  (0) 2012.07.27